검색결과 리스트
글
두뇌 활성화 17탄

패턴을 알면 공부가 쉬워진다.
두뇌는 매우 체계적인 방식으로 정보를 처리합니다. 기억은 체계, 패턴, 연상과 같은 형태로 저장되며 사실들은 고립된 단위로는 오래 기억되지 않습니다.
도서관에 수 십 만권의 장서가 있더라도 분류기호에 따라 일목요연하게 정리해 두지 않으면 책을 찾을 수 없듯이 뒤죽박죽 저장되면, 정보를 인출하는 작업과정에서도 논리적이거나 효과적으로 인출하지 못하고 혼란을 겪게 됩니다.
두뇌가 정보를 처리하는 방식 중의 하나가 패턴으로 인식하는 것입니다. 하버드 대학의 심리학자 존 레이티는 <뇌사용 설명서 A User's Guide to the Brain>에서 인간의 뇌를 '패턴 탐색장치'라고 묘사하였습니다. 그는 뇌는 전체 개념을 서로 연관시키고 그들 간의 유사성, 차이점, 관계 등을 찾는다고 하였습니다.
인간의 두뇌는 패턴이 생기면 그것들을 구분해 이해하려고 노력함으로써 의미를 찾습니다. 패턴을 보지 못하는 것을 의미 있는 학습을 하지 못하는 것이나 마찬가지입니다.
패턴(patterns)은 어디에나 있습니다.
찰스 다윈은 여행하면서 관찰한 여러 가지 형태의 생명체들에서 패턴을 보았고, 그것을 진화론으로 발전시켰습니다. 그레고르 멘델은 완두콩의 형질에서 유전의 패턴을 발견했고, 그 결과 우리들은 유전법칙을 알게 되었습니다. 질병을 연구하는 학자는 특정한 질병이 일어나는 패턴을 알면 병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치료제를 개발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패턴을 알아낸다는 것은 다음에 무슨 일이 일어날지 미리 아는 것을 의미합니다. 마케팅전략을 수립하는 담당자들은 고객의 소비 패턴을 이해하면 판매능률을 올릴 수 있습니다. 오늘날 화두가 되고 있는 빅데이터란 대량의 정보를 활용하여 패턴을 알아내는 것입니다.
천재 건축가 안토니오 가우디(Antonio Gaudi : 1852~1926)는 건축물을 설계하기 위해 자연을 주의깊게 관찰하였습니다. 예컨데 옥수수, 솔방울, 나뭇가지 등을 관찰하고 그 속에서 일정한 패턴을 발견하려고 노력하였습니다. 그는 자연에서 발견한 패턴을 자신의 언어로 재해석하여 건축에 적용하였습니다. 스페인의 바르셀로나에는 그가 설계한 사그라다 파밀리아가 잇습니다. 사그라다 파밀리아의 외관 기둥들은 옥수수의 패턴을 따라 설계되었고, 내부 기둥들은 나뭇가지의 패턴으로 설계하였습니다. 이처럼 패턴을 이해한다는 것은 창의성의 원천이 되기도 합니다.


패턴을 인식하는 것은 성공적인 학습의 중요한 열쇠입니다. 학습에서 패턴을 인식하게 되면 그저 겉만 핥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검토하고, 탐색하고, 이해할 수 있는 비밀의 문이 열립니다. 영어회화도 문장의 패턴을 알면 다양한 사례에 맞게 패턴을 활용하여 쉽게 익힐 수 있습니다. 더 나아기지 위해서는 더욱 더 의미있는 패턴을 많이 공부해야만 합니다.
학습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패턴의 의미를 이해해야 합니다. 학생들이 원소 주기율표를 제대로 알고자 한다면 주기율표의 패턴 즉, 그것이 어떻게 구성되고 왜 그런식으로 정리되었는지를 이해해야 합니다. 단순히 그 표 안에서의 위치만 가지고 원소들을 암기하는 것은 화학을 공부하는 데 아무런 도움이 안 됩니다.
학생들이 공부하는 데 도움이 되는 패턴의 유형 중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은 유사점과 차이점을 구별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학교에서 학생들에게 유기체의 다양한 특성을 가르치면서 그들에게 유사점과 차이점이라는 패턴을 찾게 합니다.
또 하나의 패턴 유형은 원인과 결과라는 패턴입니다. 원인과 결과의 패턴을 이용하면 어떤 아이디어나 사건에 대해 좀 더 깊이 탐구할 수 있습니다. 정보를 단순히 범주로 분류하는 차원을 넘어 좀 더 비판적 사고를 할 수 있게 합니다.
역사를 공부할 때도 원인과 결과의 패턴으로 공부하게 되면 단순히 연대를 암기하는 수준을 넘어서 역사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예를 들면 1894년에는 동학농민운도으 청일전쟁, 그리고 갑오개혁이 같은 해에 일어납니다.
1894년 1월에 전라도 고부군에서 고부군수 조병갑의 부패와 수탈에 항거하여 전봉준의 지도하에 동학농민운동이 일어납니다.
동학농민군의 세력이 점점 커져서 관군이 이를 진압할 수 없는 수준에 이르자 정부는 청나라에 원군을 요청합니다. 청군이 도착하자 조선에서 패권을 노리고 있던 일본도 거의 동시에 군대를 조선에 진주시킵니다. 조선에 진주한 청군과 일본군이 조선에서의 패권을 두고 벌인 전쟁이 청일전쟁입니다.
청일전쟁에서 승기를 잡은 일본이 갑오개혁을 밀어붙이고 일본군이 청일전쟁에서 승리하자 일본은 제 2차 김홍집 내각을 구성하고 갑오개혁을 마무리하게 됩니다. 이렇게 원인과 결과를 이해하면 역사가 훨씬 재밌어지고, 잘 기억할 수 있게 됩니다.
그러므로 가르치는 교사는 패턴을 알려주려고 노력해야 하고, 배우는 학생은 패턴을 발견하려고 의식적으로 노력해야 합니다.
[출처: 위키학습법 저자, 김춘식]
'요즘 Study > 학습 코칭(집중력UP)'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뇌 활성화 19탄 (1) | 2015.12.18 |
---|---|
두뇌 활성화 18탄 (0) | 2015.12.17 |
두뇌 활성화 16탄 (0) | 2015.12.14 |
두뇌 활성화 15탄 (0) | 2015.12.11 |
두뇌 활성화 14탄 (0) | 2015.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