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뇌 활성화 23탄




집중연습보다 시간간격을 두고 복습하라


지난 시간에 우리는 복습의 최적 타이밍을 배운 후 즉시, 그날 배운 내용은 그날 저녁에 복습하고, 세 번째 복습은 일주일 이내에, 그리고 한달 뒤에 다시 복습하는 것이 효과적인 복습법이라고 공부했습니다.

오늘은 왜 이렇게 간격을 두고 복습하는 것이 효과적인지 그 이유를 좀 더 살펴 보겠습니다.


사람들은 대부분 집중적으로 연습해야 더 잘 배울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암기하고, 암기하고, 또 암기해야 기억에 잘 새겨진다고 믿습니다.
완전히 익힐 때까지 한 번에 한 가지씩 집중적으로 연습해야 한다는 믿음은 학교 교사, 운동 선수, 기업의 교육담당자, 학생들 사이에 널리 퍼져 있습니다. 이런 종류의 연습을 '집중 연습(massed practice)이라고 부릅니다. 이런 믿음은 그렇게 하면서 변화를 직접 느낄 수 있다는 단순한 사실에 크게 의존합니다. 그렇지만 눈에 보이는 것과 달리 이 믿음은 잘못된 것입니다.


이러한 방식은 얼마나 빨리 익힐 수 있는지에만 초점을 맞추고, 얼마나 오래가는 기억의 근육을 만들어 낼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관심이 없습니다.
그러므로 집중연습은 단거리 경주에서는 유리할지 모르지만 장거리 경주에서는 절대적으로 불리합니다.
대학입시나 취업까지의 과정은 십 수년이 걸리는 장거리 경주입니다.


집중 연습의 예는 거의 어디서나 발견할 수 있습니다. 단기 외국어 훈련 캠프, 속성 학습을 내세워 단일 과목을 집중적으로 교육하는 학원, 직장인을 대상으로 주말에 압축적인 훈련을 제공하는 상설 교육 세미나 등이 집중 훈련에 해당합니다.


벼락치기식 공부도 집중 연습의 한 현태입니다. 벼락치기 공부로 당장 내일 있을 중간고사는 잘 볼 수 있을지 모릅니다. 하지만 기말고사 때쯤이면 대부분의 지식은 사라진 지 오래일 것입니다. 간격을 두고 공부할 때 덜 생산적이라는 기분이 드는 이유는 연습을 쉬는 사이에 약간의 망각이 일어나므로 그 개념을 회상하기 위해 더욱 열심히 노력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일정 간격을 두고 정보에 반복적으로 노출되는 것은 두뇌 속에 기억을 새기는 가장 강력한 방법입니다. 다시 정리해서 말하면, 반복과 기억사이의 관계는 명확합니다. 어떤 정보를 나중에 기억해 내고 싶다면 그 정보를 반복해서 보되,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보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새로운 정보가 한거번에 몰려 들어오는 것보다 기억 저장소에서 새로은 정보가 서서히 뒤섰일 때 학습이 가장 효율적으로 이루어집니다. 기억이 완전히 굳어져서 오랫동안 지속되려면 며칠 또는 몇 주 동안 그 기억이 완전히 굳어져서 오랫동안 지속되려면 며칠 또는 몇 주 동안 그 기억이 되풀이되어야 하고, 신경세포들이 단백질을 생성해서 새로운 시냅스의 연결망을 만들어내야 합니다.


학습해야 할 정보의 전기적 표현이 여러 번 반복되면서 천천히 쌓이면, 정보를 저장하는 데 동원된 신경 네트워크는 서서히 정보의 전반적인 모습을 바꾸고, 이미 들어앉은 지식의 토대에 새로운 지식을 덧붙일 수 있는 신경가지를 만들어 냅니다.


약간의 망각 후에는 지식을 인출하는 데 많은 노력이 필요해지므로 기억을 강화하고 통합을 다시 촉진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나는 왜 여러분에게 그날 저녁에, 주말에, 그리고 월말에 복습하라고 할까요?


우리의 시간 단위는 하루, 일주일, 그리고 한 달 단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렇게 복습 시간을 정해두고 복습하지 않으면 복습의 타이밍을 놓치기 십상이기 때문입니다.

[출처: 위키학습법 저자, 김춘식]










'요즘 Study > 학습 코칭(집중력UP)'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뇌 활성화 25탄  (0) 2015.12.28
두뇌 활성화 24탄  (0) 2015.12.24
두뇌 활성화 22탄  (0) 2015.12.22
두뇌 활성화 21탄  (0) 2015.12.21
두뇌 활성화 20탄  (0) 2015.12.21

두뇌 활성화 22탄




에빙하우스의 망각곡선과 복습의 타이밍


우리가 어떤 것을 공부하기 위해서 보거나 듣거나 읽을 때 해마는 이러한 정보들을 단기기억으로 저장할 것인가 장기기억으로 보낼 것인가를 결정하게 됩니다.

밤에 잠이 들면 우리 뇌의 해마라고 하는 부위에서는 하루 종일 입력된 정보를 선별하는 작업이 이루어집니다. 생존에 필요 없거나 중요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정보는 폐기처분하고,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정보는 장기기억으로 보냅니다.
우리가 반복해서 학습하면 해마는 이것을 중요한 것으로 판단하여 장기기억으로 보내게 됩니다.


보통의 정보는 10분만 지나면 장기기억에서 지워지기 시작합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얼마나 정보가 잊어지게 되는가를 정리한 이론이 헤르만 에빙하우스(Herrmann Ebbinghaus 1850-1909)의 망각곡선(forgetting curve)이론입니다.



그는 독일의 심리학자로서 기억에 관한 실험적 연구의 선구자입니다. 그는 정보가 망각되는 비율을 추정하기 위하여 20분에서 21일까지의 간격을 두고 무의미 철자에 대한 자신의 기억을 측정하여 그래프로 나타내었습니다. 에빙하우스는 자신이 발견한 내용을 1885년에 책으로 출판하였는데 후에 미국에서 "기억 : 실험심리학의 기여(Memory: A Contribution to Experimental Psychology)"라는 제목으로 번역되어 출간되었습니다.


망각곡선은 입력된 정보의 기억상실 비율이 처음에 가장 급격하다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적게 떨어지는 일관된 패턴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망각곡선 이론에 의하면 우리가 학습을 하고 10분이 지나면 잊어지기 시작하며 20분이 지나면 58%만 기억하고, 한 시간이 지나면 44%만 기억하며, 하루가 지나면 33%만 기억하며, 한 달이 지나면 21%만 기억하게 된다고 합니다. 그러므로 단기기억을 장기적으로 저장하기 위해서는 배운 후 바로 복습하고, 그날 배운 것은 자기 전에 한 번 더 복습하고, 일주일 이내에 세 번째 복습하고, 그리고 한 달 뒤에 다시 한 번 복습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정보에 반복적으로 노출되는 것은 두뇌 속에 기억을 새기는 가장 강력한 방법입니다.

[출처: 위키학습법 저자, 김춘식]


'요즘 Study > 학습 코칭(집중력UP)'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뇌 활성화 24탄  (0) 2015.12.24
두뇌 활성화 23탄  (0) 2015.12.23
두뇌 활성화 21탄  (0) 2015.12.21
두뇌 활성화 20탄  (0) 2015.12.21
두뇌 활성화 19탄  (1) 2015.12.18